예전에는 봄에 이사를 많이 했지만 지금은 딱히 성수기가 없다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좋은 집이 생기거나 혹은 이직이나 취업 혹은 학업을 시작하기 전에 이사를 하는 경우가 많아서 여름이라고 하더라도 이사를 하려는 분들이 꽤 있다고 하네요. 그래서 성수기라고 불리는 봄보다는 가격이 저렴해질 수 있다고 합니다.
오늘은 합리적인 가격으로 이사를 준비하고 또 정말 크게 포장이사를 줄일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보려고 하는데요, 만약 이사를 계획하고 있다면 한 번 읽어보세요.
"이사요금은 이삿짐의 양과 무게에 따라 달라진다."
이사요금은 짐에 따라서 많이 달라지게 됩니다.
이삿짐의 무게가 많이 나가고 부피나 종류가 많으면 이 것을 옮기는 차량의 비용이나 인부의 비용 등등이 더 높아질 수 있습니다. 반대로 이야기하면 이 짐이 적어지면 가격도 많이 줄어들 수 있다는 이야기.
이삿짐을 싸기전에 버릴 것들은 버리기 시작하세요.
정말 필요없는 것들이나 못쓰는 것들은 버리는 것이 좋으며 재활용이 가능한 것들은 재활용, 판매가 가능한 것들은 판매 나눔이 가능한 것들은 나누면서 짐을 줄이는 것이 좋습니다.
잘만 버려도 비용은 크게 줄어들 수 있습니다.
버릴 때에는 현명하게 잘 버리면 무료로 버릴 수 있습니다.
그리고 돈을 받고 처분할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서 대형가전의 경우 무료로 수거하는 곳을 통해서 폐기할 수 있으며 주민센터 등에 소형가전을 버리는 곳을 통해서 고장난 토스트기나 선풍기 등등을 폐기할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소형폐기물이 5개 정도 모이면 이 역시 무료수거를 요청할 수도 있다고 하니 잘 알아보세요.
의류와 신발은 판매도 가능합니다.
많은 양의 의류와 신발은 kg당 몇백원의 금액으로 판매가 가능하기도 한데요, 20kg이면 대략 1만원 정도를 받고 치울 수 있으니 이런 수거업체를 알아보고 그 곳에서 판매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이렇게 돈내고 버릴껄 무료로 버리고 돈을 받고 짐을 판매하게 되며 이 역시 몇만원의 수익이 되면서 이사비용에 보태게 될 수 있습니다.
평일에 이사하는 것도 괜찮은 방법입니다.
손없는 날이 아닌 날과 주말을 피하면 가격을 비용을 많이 줄일 수 있습니다.
월요일~목요일은 다른 날에 비해서 비교적 이사비용이 저렴하기 때문에 평일에 이사를 하는 것이 가능한 분들은 이런 평일과 손없는 날을 피해서 하게 되면 포장이사 비용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평일에 하는 것도 생각보다 좋은 선택일 수 있습니다.
금요일은 평일이긴하지만 다음날 부터 주말이 시작되기 때문에 토요일만큼이나 많은 분들이 선호하는 날이라고 하는데요, 금요일에 이사를 하고 토요일 일요일에 정리를 하고 마무리를 할 수 있어서 주말만큼이나 선혹도가 높은 편이라고 합니다.
그래서 금/토/일, 손없는 날을 피한다면 비용을 조금이라도 더 아낄 수 있다고 하네요.
마지막으로 이사견적을 잘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최소한 3곳이상에서 견적을 받아보세요.
그래야 우리집 이사의 평균값을 어느정도 예측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고 무조건 저렴한 곳이 좋은 곳은 아니니 믿을 수 있는 업체인지를 확인하는 것도 필요할 수 있습니다.
특히 정식업체인지를 확인하는 것이 좋으며, 계약서 작성시 사업자 대표자명이랑 주소 그리고 입금 계좌가 맞는지를 꼭 확인을 하고 진행을 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리고 각종 보험을 가입했는지를 확인을 해야 문제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 견적은 꼭 방문견적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이삿짐이 많을 수록 사진이나 온라인 견적을 받는 것이 부정확할 수 있으니 이를 잘 확인해보세요.
요즘은 플랫폼이나 매칭서비스 등을 통해서 내가 원하는 상황에 최대한 맞춰주는 이사비교사이트 등도 있으니 이를 통해서 견적을 알아보는 것도 좋은 판단일 수 있습니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40대 암보험 갱신형으로 준비해도 괜찮을지 알아보자 (0) | 2024.06.22 |
---|---|
이사비용은 어떻게 계산되는 걸까? (0) | 2024.06.12 |
피로가 쌓여서 힘들 때 어떻게 해야 잘 풀릴까? (0) | 2024.05.29 |
포장이사 업체 잘 고르는 방법 (0) | 2024.05.22 |
젊을때에도 혈당을 관리해야하는 이유와 혈당을 천천히 올리는 생활습관 (0) | 2024.05.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