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사고 전치3주 합의금 이야기




운전을 하거나 반대로 운전을 하지 않을때에도 사고는 늘 가까이에 있습니다.

그래서 생각보다 가벼운 접촉사고나 차와 사람 그리고 자전거와 차의 충돌로 인해서 적지않은 분들이 사고를 당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근데 이중에서는 크게 사고가 나지않아서 어떻게 해야할지 몰라서 그냥 넘기게 되는 경우도 있고, 제대로 된 보장을 받지 못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조금만 관심을 가지고, 전문가와 상담을 한다면 제대로 된 치료비나 위자료를 받을 수 있습니다.





■ 기본적으로 3주의 경우


1. 휴업손해

2. 위자료

3. 치료비 (후유증)

4. 등등


등의 보장을 받게 되는데요. 가벼운 사고의 경우에는 대략 2주 내지 3주로 진단이 되게 됩니다. 이 시기에 입원을 했기때문에 일을 할 수 없어서 받는 보상과 위자료 그리고 후에 있을 수 있는 후유증에 대한 부분을 합의해야하게 됩니다.


※ 이중에서 휴업손해의 경우에는 입원을 하지 않아서 적용이 되지 않을 수 있으니 입원을 추천합니다





■ 어떻게 해야할까?


가능하면 사고가 난 후 입원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추후에 일을 하다가 시간이 날때 입원을 하겠다는 생각은 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가능하면 입원을 한 이후에 진행을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합의는 천천히 하세요.

급하게 치료중에 합의를 끝내려고 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꼭 치료를 마친 뒤에 진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합의를 하게되면 합의 후의 치료에 대한 비용에 대한 보상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사고가 발생한다면 꼭 치료를 충분히 받고 합의를 진행하는 것이 가장 좋은 선택입니다.





■ 잘 모르겠다면 전문가의 상담을 받으세요.

교통사고로 인해서 3주이상 4주 한달 이상 입원해야한다면 상담받는 것이 유리합니다.



요즘 교통사고전문변호사 등의 도움을 받아서 진행하는 분들이 많이 늘고 있습니다.


그래서 많은 곳이 무료로 온라인 상담을 진행하는 곳이 많습니다. 이러한 곳을 이용하게 된다면 보다 확실하게 알아볼 수 있습니다. 절차와 과정에 대한 것을 잘 모르거나 어떻게 합의를 해야할지 모른다면 이러한 것을 이용하는 것도 아주 좋은 방법 중 하나가 아닐까 합니다.



▶ 교통사고전문변호사 1:1상담받기 [사이트방문]

- 잘 모르겠다면 고민하지 마시고 문의하시기를 추천합니다.



*위 글은 해당업체로부터 소정의 홍보료를 제공받아 작성된 글입니다*

300x250



가족이라고 하더라도 간섭해선 안되는 부분들이 있다


우리는 가족이라고 하면 어느정도 그사람의 인생 삶에 끼어들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많은 이야기를 하고 많은 요구를 하기도 합니다. 그래서 많은 분들이 상처를 받고 있고 힘들어 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특히 돈이나 재산의 경우 "가족/친척은 돈이나 재산에도 참여나 조언을 할 수 있다." 라고 이야기되는 분들도 있을만큼 심한 간섭을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실제로 돈이 많이 버는 자식의 재산을 부모님이 돕고 나눠야하고, 친척에게도 도움을 주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적지않습니다.)


특히 명절에는 결혼이나 취업 연애 등등에 대한 질문들을 하면서 조언 아닌 간섭을 하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어느정도 나이가 있는 성인이 되게되면 그의 판단과 그의 결정을 존중해 줄 필요가 있습니다. 그리고 그에 대한 책임을 스스로 해결해나가게 해야합니다.


이 과정에서 어느정도의 도움, 조언은 필요할 수 있지만 "어떻게 해라." "이렇게 해야한다." 등의 간섭과 지시를 하는 것은 좋지 않습니다. 그리고 그 사람이 가지고 있는 것에 대해서 평가를 하거나 요구를 하는 것 역시 좋지않습니다.


이러한 것은 자립심을 해치거나 혹은 반발심으로 인해서 더욱 좋지않은 상황으로 바뀔 수 있습니다.




그 사람에게 도움이 되고싶은데 어떻게 해야할지 많이 고민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이럴때 가장 좋은 방법은 그 사람이 내게 도움을 요청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놓고 기다리는 것이 가장 좋다고 합니다. 


상대방이 원치않은 상황에서 이렇게 저렇게 지시를 하는 등의 행동을 하게되면 그 것은 간섭이 될 뿐이고, 그러한 행동이 내게 다가오지 않습니다.


하지만 내가 도움을 요청한 상황에서의 이러한 행동들은 간섭이 아니라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것을 명심할 필요가 있다고 합니다.




300x250

+ Recent posts